본문 바로가기

WORK.돈벌기/Crypto

코린이를 위한 친절한 가상화폐 투자

by FrankUniq 2023. 7. 1.
SMALL

코린이를 위한 친절한 가상화폐 투자 1-7장

Q: 선물이 futures가 아니라  forward?
Q: 비트코인 송금 수수료가 송금액에 따라 달라지지 않고 송금자가 정할 수 있다? 수수료를 높게 설정할수록 송금 속도가 빨라진다? 비트코인 송금에 평균 1시간 소요? 수수료를 전혀 지급하지 않는 경우 좀 더 오래 걸린다? 은행 SWIFT 국제 송금은 며칠 걸린다? 비트코인 가격이 오르면서 송금 수수료가 비싸졌다?

- 김프 투자: 해외 가격은 떨어지고 있는데 한국 가격은 유지되고 있다면 언제 가격이 폭락할지 모르는 상황이므로 빠른 매도 후 관망. 반대로 해외 가격 급등하는데 김프가 지나치게 낮게 형성된(역프) 코인이 있다면,  국내에서 해당 종목에 투자해 이후 상승세를 예상할 수 있다.
국내 거래소에는 외국인 거래가 막혀 있고 거래소가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은 불법이다. 외화를 이용해 외국 거래소에서 구매하는 것은 외화 유출로 처벌받을 수도 있다. 그런 규제 장벽으로 인해 가격 차이가 발생한다.
김프가 낮을 때 원화로 가상화폐를 구매한 후에 외국 거래소에서 달러로 바꾸고, 김프가 높을 때 달러로 가상화폐를 구매한 후에 국내 거래소에서 원화로 환전하는 차익 거래.

- 노드(nod):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개별 서버(컴퓨터). 블록체인은 중앙 서버가 없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개별 서버들이 중앙 서버 역할을 한다.

- 논스(nonce): 블록체인에서 두 블록을 연결하는 접착제 기능을 하는 숫자. 두 블록을 연결하는 유효값. 비트코인은 이 논스값이 10분마다 형성되는 블록에 따라 달라지며 가장 빨리 논스값을 찾아내는 채굴자는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받는다.

- 데드캣 바운스: 죽은 고양이도 아주 높은 곳에서 떨어지면 뛰어오른다. 가격이 크게 떨어지다가 잠시 반등하는 상황

- DEX(Decentralized EXhange): 탈중앙화 거래소. 중앙 서버 없이 블록체인상에 존재하는 가상화폐 거래소. 중개자 없이 P2P 원칙에 따라 개인 대 개인 매매가 이루어진다.

- DeFi(Decentralized Finance): DEX에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대출, staking, swap, yield farming 등.

- 마진콜(margin call): 거래소는 마진 거래 손해 발생 시 투자자의 마진 투자금을 시장가로 강제 청산해 피해액을 보전한다.

- 메인넷(Mainnet): 기존 블록체인에서 독립해 새로운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 어떤 코인이 이더리움 메인넷이라고 하면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코인이다. 독립해 자기 사업을 하겠다는 의미.

- 백서(White Paper): 가상화폐 발행 시 기능, 기술, 목적 등을 정리한 보고서.

- 분산원장 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onology): 탈중앙화된 P2P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이 암호화 기술을 이용해 거래 원장을 공동 관리하는 기술.

- 선물 갭(forward gap): 가상화폐 선물시장은 개장 시간과 마감 시간이 존재한다. 휴장 시간 가격 차이, 종가와 시가 차이를 선물 갭이라고 한다.

-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중개 기관 없이 개인 대 개인(P2P)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전자 계약 시스템.

- 스캘핑(scalping): 초 단위에 가까운 빠른 트레이딩 기법. 데이트레이딩의 다른 말로도 통용된다.

- 스테이킹(staking): 가상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예치, 블록 생성 검증 거쳐 가상화폐로 보상받는 절차.  DEX의 DefI 서비스의 하나이나, 중앙화 거래소에서도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 중앙화 거래소에서는 블록 생성 검증 단계 생략, 일정 기간 예치해 락업하는 동안 보상을 주는 형태. 자신의 가상화폐를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예치해 그 지분(stake)만큼 보상을 받는다. 장기간 거래하지 않을 경우 스테이킹 이자 받는 게 이득.

- 알트코인(Altcoin: alternative coin): 비트코인 이후 후발 가상화폐

- 에어드롭(airdrop): 홍보용 코인 무상 지급, 기존 코인 보유자에게 지분에 따라 코인 지급. 인지도가 높고 보유한 사람들이 많은 코인일수록 향후 서장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에어드롭. 안정성이 높은 코인이라는 이미지.

- 장외거래(OTC: Over-The-Counter):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외부에서 매매하는 방법. 채굴자와 기관투자자들이 가상화폐를 대량 매매할 때 활용된다. 브로커를 통한 매매, OTC 트레이더를 통한 매매, OTC 데스크를 통한 매매로 구분된다.

- 재단(foundation):  가상화폐 발행 주체를 회사나 기업이 아닌 재단이라 부른다. 탈중앙화된 가상화폐의 발행 주체는 근본적으로 개인의 이익을 위해 설립되지 않으며 개인 소유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활성화와 토큰 이코노미 실현 목적.

- 증거금: 마진콜을 당하지 않기 위해 넣는 추가 금액

- 핫월렛(Hot Wallet): 인터넷에 연결된 온라인 지갑. 데스크탑/웹/모바일 월렛. 실시간 사용 가능. 해킹 위험.
- 콜드월렛(Cold Wallet): 스마트폰이나 PC에 연결하는 카드형 또는 USB 스틱형 지갑.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하드웨어 월렛.  해킹 안전. 번거로운 절차로 실시간 거래 어려움.

- 채굴(mining): 가상화폐 거래 내역은 인터넷의 '블록'에 담겨 전 세계 네트워크에 저장된다. 이런 블록들이 연결된 인터넷 기록을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채굴은 이 블록을 생성한 이에게 보상으로 코인이 지급되는 과정. 채굴자들은 코인 거래가 정상적임을 확인해주는 일을 함으로써 코인에 공헌을 하기 때문에 그 보상으로 코인을 얻게 된다.

- 코인 소각(Coin Burning): 발행량 조절. 코인 물량을 없애 코인 가격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

- 클라우드 채굴: 전문 광산업체의 지분을 사는 펀드 방식. 채굴기 구입 필요 없고 유지 보수 신경 쓸 필요 없어서 채굴 과정 간편. 실제 하드웨어 컨트롤 불가, 수익 투명성 수시로 확인할 수 없어서 리스크 존재. 주요 업체: Genesis Mining, HashFlare, ViaBTC, Bitforx, Hopehash

- 포크(fork): 블록체인상에서 업데이트가 일어나는 경우, 기존의 프로토콜을 따르려는 블록과 새로운 프로토콜을 따르려는 블록으로 나뉠 때가 있다. 이때 블록이 갈라지는 모양이 포크 같다고 해서 이를 포크(fork)라고 부른다.
- 하드포크(hard fork): 블록체인을 업그레이드해 원본에서 분리해 독립시키는 것. 프로토콜 전면 개정. 블록 규칙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분기되기 전의 블록체인과 새롭게 분기된 블록체인의 호환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에 문제가 있거나, 개발자들 간에 프로젝트 의견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경우 발생.

  • 기존 가상화폐 소유자에게는 새롭게 분기된 가상화폐를 추가로 받게 되어 호재 / 해킹 또는 오류 때문이라면 코인 투자자에게는 악재.
  • 비트코인 하드포크 -> 비트코인골드, 비트코인캐시. 비트코인캐시-> 비트코인SV
  • 이더리움 하드포크 -> 이더리움, 이더리움 클래식

- 소프트포크(soft fork): 기존의 블록체인을 업그레이드만 하는 것. 프로토콜 일부 개정. 부분적인 업데이트.  기존 블록체인과 새롭게 분기된 블록체인이 호환 가능하다.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가 있는 경우 시장에서 호재로 인식해 코인 가격이 오르기도 한다.

- 해시(hash, 해시값): 채굴을 완료하고 채굴자가 블록에 기록하는 암호화된 문자열. 16개의 숫재 및 문자로 구성. 그 암호화 과정은 해싱(hasing). 암호화 능력은 해시 파워. 논스값은 블록 연결을 위해 입력하는 값, 해시값은 그 출력값. 거래 완료된 내용을 조작하지 못하도록 봉인.

- DID(Decentralized Identifiers): 탈중앙화 신원 증명 혹은 분산 식별자라고 한다. 마이데이터를 현실화해주는 기술. 사용자가 플랫폼에서 자신의 주권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 ICO(Initial Coin Offering): 새로운 가상화폐를 거래소에 상장하기 전에 백서를 공개해 투자자를 모집하는 과정

- NFT(Non Fungible Token): 자산 소유권을 블록체인상에 등록해 고유값을 가진 토큰으로 발행한 것.




- 코인 기관투자자 동향은 Bitcoin Treasuries, Grayscale Investments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파악한다.
https://www.coinglass.com/ko/Grayscale#premium

Grayscale 비트코인 신탁 (GBTC), 투자 보유 및 프리미엄 | CoinGlass

CoinGlass는 Grayscale 비트코인 신탁의 자산 규모, 보유 현황 및 프리미엄 상황에 대한 최신 데이터 및 과거 성과 및 수익에 대한 차트 및 분석을 제공합니다. 당사 플랫폼을 통해 Grayscale 비트코인 신

www.coinglass.com

Grayscale Investments는 2013년 설립된 미국 가상자산 신탁펀드투자 회사로 SEC(미국증권거래위원회)에 공시 대상으로 등록한 가상자산 기관투자자 1호다.
그레이스케일은 코인 투자 포트폴리오를 공개하고 있다. 기관투자자들의 거래는 OTC 거래로 호가에 바로 반영되지는 않지만, 이들의 포트폴리오상 코인별 보유 수량 증감에 따라서 거래소 가격이나 시가총액은 큰 영향을 받는다.
그레이스케일 펀드가 어떤 코인에 투자하고 있으며,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변화시키고 있는지 매일 현황 체크하여 시장 상황을 파악하는 데 참고한다.

Bitcoin Treasuries는 전 세계 기업 및 기관투자자들의 비트코인 매수 정보를 추정해 공개한다.
https://www.buybitcoinworldwide.com/treasuries/

Bitcoin Treasuries | 59 Biggest Companies Holding (Public/Priv)

BitcoinTreasuries.org is the best place to check public & private companies that own BTC along with countries.

buybitcoinworldwide.com


댓글